한생각이 일어나면 그것이 곧 파계(破戒)이다 > 탄허스님방산굴법어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행/신행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탄허스님방산굴법어

탄허스님방산굴법어

한생각이 일어나면 그것이 곧 파계(破戒)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11-09-07 10:08 조회8,823회 댓글0건

본문

한생각이 일어나면 그것이 곧 破戒이다

부처님의 말씀을 크게 경․율․논 삼장(三藏)으로 나눕니다. 곧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인데, 경과 율은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신 말씀이고, 논은 그 후 보살들이 나와서 부처님 말씀에 대하여 각자 자신의 견해를 가지고 부연 설명한 것입니다.

경․율․논의 삼장의 대의는 계(戒)․정(定)․혜(慧) 삼학(三學)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율은 계학(戒學)이 되고, 경은 정학(定學)이 되고, 그리고 보살들이 부연 설명한 논은 혜학(慧學)이 됩니다. 불교를 학문적으로 말할 것 같으면 계․정․혜 삼학(三學)으로 집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는 세 가지로 분류하는데 섭율의계(攝律儀戒)․섭선법계(攝善法戒)․섭중생계(攝衆生戒)입니다. 섭율의계는 사회적으로 말하면 법률학이고, 섭선법계는 착한 행동을 하라는 것이며, 섭중생계는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계입니다. 이 셋 가운데 섭선법계와 섭중생계는 선한 일을 하여야 한다는 규범이고, 섭율의계는 악한 것은 하지 말라는 계율입니다.

그러므로 섭율의계에서 보면 하지 말라는 것을 하게 되면 계를 범한 것이 되고, 하지 않으면 계를 지키는 것이 됩니다. 다음 섭선법계와 섭중생계는 선행을 하라는 것이므로 선행을 하게 되면 그것이 바로 계를 지키는 것이 됩니다.

이와 같이 지지작범(持止作犯)의 요점을 간단히 정리한다면 착한 행동은 적극적으로 하라는 것이고 악한 행동은 절대로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계를 상계(相戒), 이계(理戒), 성계(性戒) 3층으로 분류합니다. 상계(相戒)란 비구승이 받는 비구계이고, 이계(理戒)란 진리의 계, 즉 진리를 표현한 계이고, 성계(性戒)란 이(理)와 사(事)가 서로 합해져서 한 덩어리가 된 것을 말합니다.

상계(相戒)란 예를 들면 하루 종일 망상이 우글우글 일어날지라도 ‘아! 이래선 안 되겠구나’ 하고 반성하여 그것을 행하지 않으면 계를 범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이 이른바 상계(相戒: 事戒), 곧 비구계입니다.

그러나 이계(理戒)에서 본다면 비록 행동은 하지 않았어도 마음으로 나쁜 짓을 할려고 생각만 해도 그것은 벌써 계를 범한 것이 됩니다. 남의 돈을 갖고 싶어하면 도둑질을 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그것은 이미 계를 범한 것이 됩니다.

예컨대 어떤 사람을 미워하여 마음 속으로 ‘내가 총이 있다면 쏴버리고 싶다.’고 생각할 때 그것은 비록 행동은 하지 않았어도 곧 계를 범한 것이 됩니다. 이것이 이계(理戒)입니다.

성계(性戒)란 3사(三師)가 이렇게 앉아서 계를 설하는 것, 이것이 정말 계일까? 7증사(七證師)가 앉아서 증명하는 것, 이것이 계일까? 오계․십계를 설하는 것, 이것이 계일까? 48경계(四十八輕戒: 梵網經)를 설하는 것, 이것이 정말 계일까? 이렇게 의심을 갖고 분석해 보아도 실체가 없고, 아무리 찾아보려고 해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을 성계라 합니다.

그러므로 성계의 자리에 앉아서 본다면 계를 받을 사람도 없고 계를 지키는 사람도 없는 것입니다. 천만 번 계를 범했다 해도 범하는 것도 없고, 천만 번 지켰다 해도 지키는 것이 없는 것입니다.

성계 자리에서 보면 ‘파계비구가 지옥에 들어가지도 않고 지계비구(持戒比丘)가 천당에 태어나지도 않는 것’입니다.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것, 행하거나 행하지 않는 것이 모두 끊어졌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성계(性戒)는 누가 지키는 계이겠습니까? 이는『화엄경』의 화엄보살이 인행시에 지키던 계입니다. 이것은 이(理)와 사(事)가 한 덩어리가 된 계입니다.

오늘 설하는 이『범망경(梵網經)』의 계는 진리적인 면을 말하는 이계(理戒)입니다. 그리고 사분율(四分律)에서 말하는 계는 상계(相戒)로서 망상이 아무리 일어나도 범하지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계(理戒)의 입장에서는 한생각을 일으키면 파계라고 합니다.

오늘 여러분이 이 범망계, 즉 이계(理戒)를 받는 의미는 무엇인가. 비구계는 비구승이 아니면 절대로 받을 수 없고 또 계를 설하는 자리에 아무리 신심 있는 신도라도 참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범망경』보살계를 받는 자리에는 일체중생이 누구든지 받으라고 허락되어 있습니다.

왜냐 하면 진리의 계이므로 한 번 받으면 영원히 그 종자가 끊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미 세계에 가면 개미 세계의 왕이 되고, 사람 세계에 나면 사람의 왕이 되고, 천당에 가면 천당의 왕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이계(理戒)는 비구승이든 보살이든 신도이든 또는 축생이든 모두 받으라는 것입니다. 축생이 어떻게 계를 받을까하고 의심하겠지만 귀로 듣는 잠재의식 속에 사진이 찍혀서 다음 생에 가서는 키가 큰 짐승으로 태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축생도 이 계(戒)를 받으라는 것입니다.

『범망경』의 십중대계(十重大戒),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로 말하면 부처님 당시에는 15일마다, 초하루와 보름이 되면 규칙적으로 이 계를 설했습니다. 만일 비구니들의 도량이기 때문에 계를 설해 줄 사람이 없으면 비구가 대신 가서라도 설해 주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랜 세월이 흐르고 인도와 수만 리 떨어져 있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지금은 거의 폐지되고 어쩌다 한 번씩 계를 설하게 된 것이 오늘 한국불교의 현실입니다.

그러면 계의 근본 원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계란 잘못된 것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잘못되는 원인이 어디서부터 나오느냐. 신(身)․구(口)․의(意) 셋으로 분류합니다. 몸으로 짓는 죄는 살(殺, 살생)․도(盜, 도둑질)․음(婬, 음행) 셋이며, 입으로 짓는 죄는 기어(綺語, 아름답게 꾸미는 말)․망어(妄語, 거짓말)․양설(兩舌, 이중으로 하는 말)․악구(惡口, 남에게 악담하는 것)입니다.

또 뜻(생각, 마음)으로 짓는 죄는 탐(貪)․진(瞋)․치(痴)입니다. 욕심내는 것, 욕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성내는 것, 어리석은 마음이 따라다니는 것 등입니다. 이 어리석음을 중용경(中容境)이라고 합니다. 즉 어리석은 마음 때문에 탐심과 진심(성냄)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몸으로 짓는 죄가 셋, 입으로 짓는 죄가 넷, 뜻으로 짓는 죄가 셋, 이것을 십악(十惡)이라 합니다. 그 밖에도 천 가지 만 가지 죄악이 있지만 이 열 가지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 십악으로부터 모든 죄악이 나오는 것입니다. 십악(十惡)에서도 상․중․하 세 종류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악한 죄를 짓는 자는 삼악도(三惡道, 지옥․아귀․축생) 가운데 지옥으로 가고, 중간쯤 지은 자는 아귀, 가장 적게 지은 자는 축생으로 간다고 하였습니다.

이 십악은 섭율의계(攝律儀戒)에 속합니다. 십악의 반대는 십선(十善)인데, 바꾸어 말하면 살생, 도둑, 음행 등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살생 대신 방생을 실천하며, 도둑질 대신 남에게 보시하며, 음행(婬行) 대신 깨끗한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또는 여러분이 절에 다니는 것도 깨끗한 행동이 되고 부처님 앞에 서면 조금이라도 경건해지려고 하는 것도 깨끗한 행동입니다. 이렇게 실천한다면 여러분들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청정행을 닦는 것이 됩니다.

부처님은 기어(綺語) 대신에 여실어(如實語), 즉 실다운 말씀을 하셨고, 망어 대신에 칭법어(稱法語), 즉 법에 맞는 말씀을 하셨으며, 양설 대신에 화합어(和合語)를 하셨고, 악구 대신에 유연어(柔軟語), 즉 부드러운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또 탐․진․치에 있어서도 부처님은 탐욕이 많은 중생은 부정관(不淨觀)을 하라고 하였습니다. 즉 우리의 이 육체는 피, 고름, 똥 등 더러운 것으로 뭉쳐진 존재라고 관찰하는 것입니다.

화를 잘 내는 중생은 자비관(慈悲觀)을 하라 하였습니다. 즉 일체중생을 자기 자식이나 형제와 같이 자비로써 관하라는 것입니다.

어리석음이 많은 중생은 분별관(分別觀: 因緣觀)을 하라 하였습니다. 즉 이 세상 만법이 인연으로 났다가 인연으로 없어지는 것을 알면 집착이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예컨대 수소와 산소가 합하면 물이 나오는데 어째서 물이 나오는가를 관하는 것, 돌멩이가 단단하지만 불 속에 들어가면 녹아버리는 이치, 물이 그렇게 물렁하지만 추위를 만나게 되면 단단하게 얼어버리게 되는 것 그런 것이 모두 인연법의 이치입니다.

이 세상 만법은 모두 인연으로 모였다가 인연으로 흩어지는 것입니다. 우리의 육체도 지․수․화․풍의 사대(四大)로 모였다가 지․수․화․풍의 사대로 흩어집니다. 이 우주도 지․수․화․풍의 사대로 구성됐다가 지․수․화․풍의 사대로 흩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절실히 느껴서 악행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이후 법어가 더 이어지고 있으나 녹음상태가 좋지 못해서 옮길 수 없었음)

* 이 법문은 1980년 10월 4일, 정암사 보살계 수계식에서 하신 법어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