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언중언 접근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21-07-08 17:56 조회3,565회 댓글0건본문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 중인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궤의 제자리 찾기 운동이 들불처럼 일고 있다. 월정사 등 민간의 노력으로 일본에서 환수된 문화재들을 원래의 자리인 평창으로 돌려보내 달라는 것이 이 운동의 주된 내용이다. 문화재 관리 당국은 문화재보호법, 그중에서도 ‘국유문화재에 관한 특례'와 보관 장소의 적정성, 연구와 전시 등의 이유를 들어 오대산 봉안을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국보와 보물로 지정됐고, 국유문화재이기 때문에 그에 걸맞은 장소와 철저한 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래도 제반 조건과 자격을 갖춘 왕조실록·의궤박물관이 평창에 문을 열었는데도 그곳에는 오직 복사본만 보관하고 전시해야 한다는 이유는 좀처럼 납득이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일본 등 해외에서 환수된 문화재의 소장처를 결정하는 요소에 접근성이 포함된 사실을 알게 된다면 고개가 끄덕여질 수도 있다. 인구 대비 접근성만 놓고 보면 이견 없이 모든 문화재는 서울에 있어야 한다. 접근성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통행 발생 지역으로부터 특정 지역이나 시설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 일반적으로 거리·통행 시간·매력도 따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 개념은 도대체 왜 가져온 것일까.
▼문화기반시설 통계 등 문화 관련 통계를 보면 인구당 분석은 있어도 접근성을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접근성만 놓고 보면 항상 서울은 과잉, 지역은 과소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넓은 면적의 강원도가 접근성 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혜택이나 서비스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논리의 근간이 될 수 있다. 문화재 보관 장소에 접근성을 항목에 넣은 것은 패착에 가깝다. 마치 과거 제국주의 시절 약탈한 문화재를 아직도 돌려보내지 않는 국가들의 논리와 판박이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나서 해외 약탈문화재의 환수를 주장하면서 지역의 환수 운동에는 눈을 감아 버리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접근성 때문에 설악산도 서울로 옮겨야 할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