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제자리는?”(불교신문)2012.07.05 > 언론에 비친 월정사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소통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언론에 비친 월정사

언론에 비친 월정사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제자리는?”(불교신문)2012.07.05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12-07-07 10:55 조회11,062회 댓글0건

본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성종실록 권51.

서울대 규장각이 관리해왔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이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된다. 하지만 오대산사고본이 있던 제자리인 오대산에 보관해야 주장도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재청(청장 김찬)은 지난 3일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관리해왔던 국보 제151-3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74책에 대한 관리단체를 국립고궁박물관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립고궁박물관의 관리단체 지정은 서울대에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1질이 보관돼 있어 조선시대 사고(史庫) 제도의 운영취지에 따라 분산 보관하고, 기존의 27책과 일본으로부터 돌려받은 47책은 동일 사고본으로 함께 보관돼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뤄지게 됐다.

하지만 이에 대해 월정사를 비롯한 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조선왕조실록 및 왕실의궤 제자리 찾기 범도민추진위원회(위원장 원영환)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서울대 규장각 임시 보관이 적절치 않아 보관처 이전 결정은 환영하지만, 보관처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아닌 제자리인 오대산이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범도민추진위는 지난 4일 발표한 성명에서 “조선시대에는 분산 보관의 원칙에 따라 같은 지역(한성) 내에 있는 다른 기관이나 시설에 분산 보관하지 않고 전국의 오대산, 태백산, 정족산, 마니산 등에 나누어 보관했다”며 “같은 서울 하늘에 있는 서울대 규장각에서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기는 것은 분산 보관의 원칙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라고 문화재청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어 범도민추진위는 “문화재청은 국립고궁박물관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관리단체 지정을 철회하고, 제자리로 돌려보내줄 것”을 촉구하며 “2011년도에 환국한 조선왕조의궤 또한 조선왕조실록과 더불어 제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은 74책으로, 이 가운데 27책은 1932년부터 서울대학교의 전신인 경성제국대가 보관해오던 것으로 1973년 국보로 지정됐다. 나머지 47책은 지난 2006년 일본 도쿄대로부터 반환돼 2007년 국보로 추가 지정된 후, 그동안 서울대에 임시 보관돼 왔다.

다음은 조선왕조실록 및 왕실의궤 제자리 찾기 범도민 추진위원회 성명서 전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은 제자리로 돌아와야 합니다.

 

월정사를 비롯하여 민간 차원의 문화재 제자리 찾기 운동의 결과로 2006년도 환국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이 서울대 규장각이 아닌 제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학계, 문화계, 종교계,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등 각계각층의 입장 표명이 있었으며, 심지어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제19대 국회의원총선거 공약사항이기도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환수과정 당시 동경대학이 환수위원회의 활동에 따라 반환의 불가피성을 확인하고 내부적으로 반환 결정을 하였으나, 일본 내 우익의 반발과 약탈문화재의 원소장처로의 반환이 갖는 파장을 우려하여 서울대와 비밀협상을 통해 서울대에 기증 의사 표명하고 서울대는 몰역사적 인식으로 약탈문화재 반환이 아닌 기증에 동의하여 지탄을 받은 바 있다.

또한 2006년도 당시 서울대학교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 규장각 보관 운운은 선조들이 설정한 왕조실록의 분산 보관 원칙에도 맞지 않는 것이기에 서울대학교는 학교의 이익에 연연하지 말고, 국가적 견지와 민족적 관점에 서서 불법 문화재의 원 소장 처인 오대산으로의 반환에 적극 동참하는 대승적 자세를 견지해야 함을 촉구한 바 있다.

따라서 우리는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서울대 규장각 임시 보관이 적절치 않아 보관처 이전 결정은 환영하지만, 보관처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아닌 제자리인 오대산이어야 한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7월 3일자 보도 자료를 통해 연구 목적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임시 보관하고 있던 국보 제151-3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에 대한 관리단체를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전격적으로 결정하고, 7월 5일자로 관보에 고시키로 하였다.

이러한 결정의 사유를 보면, 조선시대 사고 제도의 운영취지에 따라 분산보관하기 위한 것과, 동일 사고본인 기존의 27책과 일본으로부터 돌려받은 47책을 함께 보관하는 것이 타당, 상설전시 등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하고, 왕실문화 전문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설립 목적에 충실하기 위한 것이라 한다.

문화재는 제자리에 있을 때 그 가치를 더하는 법으로, 선조들의 분산 보관의 원칙은 실록 멸실 및 훼손 위험을 분산하기 위함과 동시에 그 지역의 선비나 학자들에게 열람 등의 편의를 제공하여 지역 학문을 증장시키고 문화의 질을 높여 지역을 발전시키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분산 보관을 통해 실록보관처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자부심을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분산 보관의 원칙에 따라 같은 지역(한성) 내에 있는 다른 기관이나 시설에 분산 보관하지 않고 전국의 오대산, 태백산, 정족산, 마니산 등에 나누어 보관한데서 볼 수 있듯이, 같은 서울 하늘에 있는 서울대 규장각에서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기는 것은 분산 보관의 원칙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문화재청의 이번 결정은 지역의 문화의 질을 높이고 지역민에 대한 문화 서비스 강화 등 지역문화 활성화를 통한 중앙과 지역의 균형과 조화 추구와 지역민에 대한 배려보다는 오히려 산하 기관인 국립고궁박물관만을 생각하는 조직이기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록의 분산 보관이 단지 훼손과 멸실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함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질을 높이는 데 그 이유가 있듯이, 실록이 제자리인 지역으로 돌아와 전시를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통해 지역문화를 살찌우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이 보관되어 있는 평창은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이다. 현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관심 촉구를 강하게 요구하는 시점에서 2018 동계올림픽을 문화올림픽으로 만드는데 있어 핵심 문화콘텐츠인 조선왕조실록에 대해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는 것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가적 지원 의지를 의심케 하고 지역민을 우롱한 처사라 아니할 수 없다.

2018 동계올림픽이 단순한 스포츠대회가 아닌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적 역량을 총체적으로 펼쳐내는 문화축전이다. 세계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문화올림픽으로 승화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제자리에 돌아와야 하며, 문화재청에서 이를 보관 전시, 활용할 수 있는 ‘국립 평창 세계기록문화유산전시관’을 건립하여 직접 운영하길 요구한다. 이를 위해 기반시설 정비, 부지 제공 등의 용의도 있다.

문화재청은 국립고궁박물관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관리단체 지정을 철회하고, 제자리로 돌려보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귀향이 지방문화 육성과 문화 분권이라는 중앙정부의 의지를 확인하는 잣대로 삼고자 한다.

더불어 2011년도에 환국한 조선왕조의궤 또한 조선왕조실록과 더불어 제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강력히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 오대산사고본이 제자리인 오대산으로 돌려보내줄 것’을 각 당의 대통령선거의 공약에 반영되기를 요구한다.

우리 조선왕조실록 및 왕실의궤 제자리 찾기 범도민 추진위원회는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가 강원도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 우리의 얼과 정신을 찾아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임을 확신하고, 제자리로 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천명한다.

 

2012. 7. 4

조선왕조실록 및 왕실의궤 제자리 찾기 범도민 추진위원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