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보신문]“실록·의궤 환지본처, 지방문화분권 첫 단추” > 언론에 비친 월정사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소통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언론에 비친 월정사

언론에 비친 월정사

[법보신문]“실록·의궤 환지본처, 지방문화분권 첫 단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21-08-02 17:42 조회5,308회 댓글0건

본문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오대산사고본 실록·의궤에 성공적인 민간 환수역사 담겨있어
131억원들여 전용 박물관 지어놓고 활용 않는 것은 ‘혈세 낭비’
문화재 계승·발전은 국민의 몫…문화유산 헌장 의미 되새겨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의원으로서가 아니라 강원도에서 나고 자란 도민의 한 사람으로서 환수운동에 앞장서 준 불교계에 존경을 표하고 싶다”면서 “어렵게 돌아온 오대산본 실록·의궤가 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환수위원회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허영 의원실 제공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궤 환수위원회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됐다. 환수위문화재청이 몇 차례 협상을 시도했지만 문화재청이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협의가 진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춘천·철원·화천·양구 갑)이 7월22일 법보신문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궤가 오대산으로 돌아오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현직 국회의원이 오대산본 실록·의궤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허 의원은 현재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을 맡고 있다. 편집자

▲올해 6월16일 불교계를 비롯한 종교·문화·경제계, 강원도민 등이 주축이 돼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궤 환수위원회가 다시 결성됐다. 이번엔 일본이 아닌 정부(문화재청)를 상대로 실록·의궤의 환지본처를 촉구하고 있다. 강원지역 국회의원으로서 어떻게 평가하나.

재결성된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 환수위원회의 ‘환지본처’ 요청에 문화재청은 반드시 응해야한다. 2006년 실록 47책이, 2011년 의궤 등 약탈도서 1205권이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이는 오롯이 민간의 성과다. 특히 오대산 월정사를 중심으로한 불교계·민간의 대대적인 환수운동 덕분에 귀국할 수 있었다. 시민들이 연대해 6년여에 걸쳐 환수한 것은 이례적이다. 전무한 일이라 평가된다. 민간이 되찾아온 성공적인 환수 역사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오대산으로 돌아와야 한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환수위원회의 환지본처 요구에 문화재청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국가소유문화재를 민간박물관으로 이관하는 것이 선례가 될 경우, 향후 지역에서 국가소유문화재 반환 요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대해 어떻게 보나.

문화재청장이 공언했던 이야기가 있지 않았나. 2006년 8월 청장은 오대산에서 열린 ‘오대산본 실록 환국고유제’에서 “실록·의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 유산인 만큼 항온·항습시설 등 보관 조건이 갖춰지면 오대산으로 돌려주겠다”고 밝혔다. 이날 청장 발언에 강원도도 힘을 보탰다. 환수에 도민들이 함께했던 만큼 오대산본 실록·의궤‘강원도 상징’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했다. 그랬기에 그 자리에서 “예산이 얼마가 소요되던 문화재가 제자리에 올 수 있도록 책임지고 보관 시설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이후 강원도는 약속을 지켰다. 오대산 앞의 보존시설을 완공하고 사고 주변 정비도 마쳤다. 이제 정부가 당시의 약속에 화답할 차례다. 문화재청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문화재는 제 자리에 있어야 빛을 발한다. 당연하지만 아주 핵심적인 사안이다. 약탈, 수난, 환수 등 근·현대사를 함께 했던 오대산본 실록·의궤가 제자리에 있을 때 훼손됐던 민족의 정체성이 회복된다. 또 강원도민의 자긍심을 되찾을 수 있다.

▲국유 문화재라도 문화재를 보존관리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면 지역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보낼 수 있는 ‘제도적 보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차원에서 이 부분에 대해 논의할 계획은 없나.

이 부분은 사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다뤄져야 하는 사안이다. 하지만 오대산 앞에 실록·의궤 전용박물관이 마련돼 있음에도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은 혈세 낭비 아니겠나. ‘왕조실록·의궤 박물관’은 국비·지방비를 합해 131억원이 투입됐다. 2만4436㎡부지에 수장고, 전시시설, 교육시설, 연구실이 갖춰졌다. 내진설계도 돼 있어 안전하다. 비록 내가 활동하고 있는 상임위는 아니지만 ‘문화재 관리의 제도적 맹점’이 개선되도록 국회 차원에서 토론회, 국정감사를 계획해 보겠다.

▲지역문화분권, 지역균형발전이 강조되고 있다. 오대산본 실록·의궤가 돌아왔을 때 강원지역 문화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의견에 동의하나.

실록·의궤가 돌아온다고 해서 당장 지방분권화가 이뤄진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사회 전반에 ‘중앙 집권화’ 문제가 심각하지 않는가. 모든 것이 수도권 일극 체제로 돼, 이제 지방은 소멸 위기에 봉착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균형발전 정책은 아주 중요한 과제다. 앞으로도 핵심 가치가 돼야 한다.

오대산본 실록·의궤의 환지본처가 지역문화분권의 첫 단추가 되길 바란다. 정부와 지역자치단체 간의 상호이해와 신뢰가 시작될 지점이라 생각한다. 이를 밑거름으로 삼아 역사, 문화, 예술 등에 대한 지방문화 활성화 정책이 이어진다면 진정한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이 될 것이다.

▲강원도 국회의원으로서 오대산본 실록·의궤 환수와 관련한 불교계 활동에 어떻게 평가하나.

해외로 반출됐던 문화재가 어렵게 돌아왔다. 그 중심에는 오대산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과 우리나라 불교계, 불자님들이 한 마음으로 애를 써주셨다. 강원도 국회의원으로서가 아니라 강원도에서 나고 자란 도민의 한 사람으로서 존경을 표하고 싶다. 진심으로 감사하다. 동시에 송구스런 마음도 있다. 어렵게 돌아왔지만 제 자리를 찾진 못했다. 오대산본 실록·의궤가 ‘왕조실록·의궤 박물관’으로 무사히 들어가는 그 순간까지 함께 하겠다.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지난해 12월 문화재청이 개정한 ‘문화유산 헌장’ 이야기를 하고 싶다. 23년 만에 개정된 이 헌장은 문화재청이 보존보다는 활용에 가치를 더하고, 정부가 민간과 함께 문화재를 보존해나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개정된 헌장의 구체적 행동지침으로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대로 보존돼야 한다’ ‘모든 국민은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찬란한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켜야 한다’이다. 문화유산 헌장은 국민에게 문화유산을 그대로만 지키는 것이 아닌, 계승·발전의 의무도 지게 하고 있다. 어렵게 돌아온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국민들이 온전히 계승·발전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이 오대산으로 귀향시켜주길 당부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