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보신문]문화재청 ‘조선총독부 약탈’ 답습하려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21-06-21 12:25 조회3,616회 댓글0건본문
서울대는 오대산 사고본에 탐욕. 문화재청은 독단·배신으로 부채질
정부도 환지본처 정당성 끝내 외면. 일제 만큼이나 비열한 꼼수로 일관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궤 환수위원회가 출범했다. 정치·경제, 종교·문화, 지역민 등 788명이 포진한 대규모 환수위다.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를 이번엔 반드시 찾아오겠다는 비장함이 서려 있다. 이것은 불교·민간단체의 환지본처 요구를 16년째 외면·묵살해 온 문화재청과 담판 짓겠다는 천명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의 고압적 행태들을 논하기 전에 조선왕조실록 행방의 단면을 보자.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각지의 사고를 철폐했다. 적상산·정족산·태백산사고본은 서울로 집결시켰고, 오대산사고본(788책)은 일본 도쿄대학으로 무단 반출했다. 춘추관사고본은 이미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소실됐다.
적상산사고본은 6·25 한국전쟁 때 북으로 넘어갔는데 현재 김일성종합대학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족산사고본은 서울대 규장각에 있고, 태백산사고본은 서울대에 있었는데 1985년부터 부산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이 보관하고 있다. 일본 도쿄대학에 있던 오대산사고본은 관동지진 때 모두 불탔다. 다행히도 대출된 74책이 살아남았다. 74책 중 27책은 일본이 서울에 설립한 경성제국대학으로 보내졌고, 현재 서울대 규장각이 보관하고 있다. 나머지 74책은 월정사와 환수위원회의 노력으로 2006년 돌아왔는데 이 또한 서울대 규장각이 보관하고 있다가 2012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됐다.
이괄의 난과 6·25 한국전쟁으로 소실되고 빼앗긴 조선왕조실록 외의 정족산·태백산사고본 실록 모두 서울대가 갖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서울대는 오대산사고본 실록마저 욕심을 냈다. 이 정도면 탐욕이다. 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건 문화재청인데 지금까지 보인 행보는 신뢰를 갖기 어렵다. 아니, 당초부터 월정사와 강원도민 품으로 돌려줄 의향이 없었던 게 확실하다. 2012년 7월3일자 문화재청 보도자료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관리단체 지정’이 방증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오대산사고본 관리 이유와 의미를 담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전인수 그 자체이다.
문화재청은 ‘서울대에 정족산사고본 1질이 있으므로, 조선시대 사고제도의 운영 취지에 따라 분산 보관하기 위해 오대산사고본을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하도록 했다’고 했다. 1600년대부터 조선 조정의 실록 분산보관 정책에 따라 그 책무를 수행한 건 월정사다. 300년에 걸쳐 전문고유 업무를 수행한 월정사는 왜 언급조차 않는가? 2006년 불교·민간단체의 환지본처 요구에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약속했다. “관리할 능력·인력·예산이 없으니 갖춰지면 오대산으로 보내겠다.” 그렇다면 문화재청은 보도자료에 ‘월정사가 실록보관 시설을 완비하기 전까지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한다’고 명시해야 했다.
‘(실록)상설전시 등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했다. 문화 서비스를 왜 서울·중앙기관에서만 하려 하는가. 그것도 ‘남의 것’으로 말이다. ‘문화분권 정책 지양·중앙집권 문화정책 지향’이 문화재청의 미래비전이라도 한 것인가? 또한 ‘왕실문화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설립 목적에 충실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했다. 이 무슨 해괴망측한 소리인가? 문화재청은 국가 소유로 지정돼 있는 탑, 불상, 불화 등을 성보박물관·전시관으로 반환·기증할 정책 하나라도 수립하고 있는가?
오대산 사고본은 1965년 한일 국교 과정에서도 문화재 반환목록에서조차 은폐시켰던 일본을 상대로 불교·민간단체의 원력으로 가져온 것이다. 험난했던 이 여정에서 문화재청·서울대·국립고궁박물관의 흔적은 없다. ‘환수’ 민심을 배신한 채 ‘기증’에 허리를 굽힌 서울대 행태를 빼고는 말이다.
문화재청에 단도직입으로 묻는다.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약탈 작태를 문화재청도 그대로 답습할 것인가? 적어도 실록을 오대산으로 돌려주겠다고 약속한 유홍준 문화재청장(2004∼2008), 오대산 사고본 실록을 국립고궁미술관이 관리할 수 있도록 결정한 김찬 문화재청장(2011∼2013), 그리고 현직에 있는 김현모 문화재청장(2020∼)은 이 물음에 답해야 한다.
문화재청의 고압적 행태들을 논하기 전에 조선왕조실록 행방의 단면을 보자.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각지의 사고를 철폐했다. 적상산·정족산·태백산사고본은 서울로 집결시켰고, 오대산사고본(788책)은 일본 도쿄대학으로 무단 반출했다. 춘추관사고본은 이미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소실됐다.
적상산사고본은 6·25 한국전쟁 때 북으로 넘어갔는데 현재 김일성종합대학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족산사고본은 서울대 규장각에 있고, 태백산사고본은 서울대에 있었는데 1985년부터 부산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이 보관하고 있다. 일본 도쿄대학에 있던 오대산사고본은 관동지진 때 모두 불탔다. 다행히도 대출된 74책이 살아남았다. 74책 중 27책은 일본이 서울에 설립한 경성제국대학으로 보내졌고, 현재 서울대 규장각이 보관하고 있다. 나머지 74책은 월정사와 환수위원회의 노력으로 2006년 돌아왔는데 이 또한 서울대 규장각이 보관하고 있다가 2012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됐다.
이괄의 난과 6·25 한국전쟁으로 소실되고 빼앗긴 조선왕조실록 외의 정족산·태백산사고본 실록 모두 서울대가 갖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서울대는 오대산사고본 실록마저 욕심을 냈다. 이 정도면 탐욕이다. 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건 문화재청인데 지금까지 보인 행보는 신뢰를 갖기 어렵다. 아니, 당초부터 월정사와 강원도민 품으로 돌려줄 의향이 없었던 게 확실하다. 2012년 7월3일자 문화재청 보도자료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관리단체 지정’이 방증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오대산사고본 관리 이유와 의미를 담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전인수 그 자체이다.
문화재청은 ‘서울대에 정족산사고본 1질이 있으므로, 조선시대 사고제도의 운영 취지에 따라 분산 보관하기 위해 오대산사고본을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하도록 했다’고 했다. 1600년대부터 조선 조정의 실록 분산보관 정책에 따라 그 책무를 수행한 건 월정사다. 300년에 걸쳐 전문고유 업무를 수행한 월정사는 왜 언급조차 않는가? 2006년 불교·민간단체의 환지본처 요구에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약속했다. “관리할 능력·인력·예산이 없으니 갖춰지면 오대산으로 보내겠다.” 그렇다면 문화재청은 보도자료에 ‘월정사가 실록보관 시설을 완비하기 전까지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한다’고 명시해야 했다.
‘(실록)상설전시 등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했다. 문화 서비스를 왜 서울·중앙기관에서만 하려 하는가. 그것도 ‘남의 것’으로 말이다. ‘문화분권 정책 지양·중앙집권 문화정책 지향’이 문화재청의 미래비전이라도 한 것인가? 또한 ‘왕실문화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설립 목적에 충실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했다. 이 무슨 해괴망측한 소리인가? 문화재청은 국가 소유로 지정돼 있는 탑, 불상, 불화 등을 성보박물관·전시관으로 반환·기증할 정책 하나라도 수립하고 있는가?
오대산 사고본은 1965년 한일 국교 과정에서도 문화재 반환목록에서조차 은폐시켰던 일본을 상대로 불교·민간단체의 원력으로 가져온 것이다. 험난했던 이 여정에서 문화재청·서울대·국립고궁박물관의 흔적은 없다. ‘환수’ 민심을 배신한 채 ‘기증’에 허리를 굽힌 서울대 행태를 빼고는 말이다.
문화재청에 단도직입으로 묻는다.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약탈 작태를 문화재청도 그대로 답습할 것인가? 적어도 실록을 오대산으로 돌려주겠다고 약속한 유홍준 문화재청장(2004∼2008), 오대산 사고본 실록을 국립고궁미술관이 관리할 수 있도록 결정한 김찬 문화재청장(2011∼2013), 그리고 현직에 있는 김현모 문화재청장(2020∼)은 이 물음에 답해야 한다.
조선총독부와 도쿄대학으로부터 날아온 것보다 더 날카로운 비수가 월정사와 강원도민의 가슴에 꽂혀 있다는 걸 문화재청은 직시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